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직장인들이 어떻게 하면 세금을 아낄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IRP(개인형 퇴직연금)와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혜택이 큰 금융상품으로, 활용만 제대로하면 세액공제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IRP와 연금저축이 무엇인지, 세액공제는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RP와 연금저축, 어떻게 다를까?
IRP와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대표적인 노후 대비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두 상품의 성격이 조금 다릅니다.
◎ 연금저축
- 은행(연금저축 예금), 증권사(연금저축 펀드), 보험사(연금저축 보험)를 통해 가입 가능
-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 하며, 가입 후 5년 이상 유지 필수
- 세액공제 한도: 최대 400만 원
◎ IRP(개인형 퇴직연금)
- 직장인, 프리랜서, 자영업자 모두 가입 가능
- 퇴직금을 이체받아 운용할 수도 있고, 개인이 추가 납입 가능
- 연금저축과 함께 세액공제 한도가 늘어남
- 세액공제 한도: 최대 900만 원 (연금저축 600만 원 포함)
즉, IRP와 연금저축을 함께 가입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RP와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은 얼마나 될까?
세액공제는 연봉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며, 소득이 낮을수록 혜택이 더 큽니다.
총급여세액공제율최대 세액공제 혜택 (900만 원 납입 시)
5,500만 원 이하 | 16.5% | 148.5만 원 |
5,500만 원 초과 | 13.2% | 118.8만 원 |
예를 들어, 연봉 5,000만 원인 직장인이 IRP에 900만 원을 납입하면
➡ 148.5만 원을 세금에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400만 원만 납입하면
➡ 66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과연 IRP와 연금저축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 1.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기
- 연금저축만 가입하면 최대 6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IRP까지 추가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연말정산 환급금을 늘리고 싶다면 IRP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유리!
✔ 2. 수익률 높은 상품 선택하기
- 연금저축은 예금, 펀드, 보험 중 선택 가능
- IRP는 예금, 채권, 펀드 등 다양한 상품을 운용 가능
- 안정적인 투자 원하면 예금, 더 높은 수익을 원하면 펀드 선택
✔ 3. 중도 해지하지 않기
- 연금저축과 IRP는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아야 세금 혜택을 볼 수 있음
- 중도 해지하면 공제 받은 금액을 다시 토해내야 하며, 기타소득세(16.5%)도 부과됨
- 단기적인 목적으로 보다는 장기적인 노후 대비용으로 활용해야 효과 적임
IRP & 연금저축 활용, 이렇게 하면 완벽!
1. 연말정산을 위해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한다.
2. IRP와 연금저축을 함께 가입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하다.
3. 중도 해지를 피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적절한 상품을 선택한다.
IRP와 연금저축은 공제 혜택도 크고, 노후 대비도 할 수 있는 똑똑한 금융상품입니다.
여러분은 어떤선택을 하실건가요?
'▣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 챗봇, GPT와 뭐가 다를까? 차이점 완벽 분석 (2) | 2025.02.16 |
---|---|
빨리 돈을 모으는 7가지 현실적인 방법 (10) | 2025.02.16 |
2025년, 가장 빠르게 성장할 산업은? (10) | 2025.02.16 |
퇴근 후 누구나 가능한 직장인 부업 5가지 (1) | 2025.02.16 |
직장인,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가이드, 돈이 돈을 부른다 (10) | 2025.02.16 |